금융상품 들여다보기 7

연금저축과 IRP 중도인출 기준이 달라?

Q. 연금저축과 IRP에서 부득이하게 중도인출을 하는 경우에는 먼저 입금한 순서대로 인출된다? ▶출금할때 순서는 어떻게되며, 차감하는 세금은 어떻게 되나요? 연금적립금에서 출금할 때, 차감되는 세금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 세율이 낮은 적립금부터 출금됩니다. 1순위 Tax 0% 비과세 대상금액 연말 세액공제 신청을 하지 않은 납입금 2순위 Tax 16.5% 기타소득세 연말 세액공제 신청한 납입금 연금저축에서 발생한 수익 예시 : 2016년도에 연금저축에 입금한 A씨, 세액공제 받은 금액 400만원, 받지 않은 금액은 300만원, 운용수익은 30만원 입니다. 2017년에 400만원 중도인출 하면 세금이 어떻게 발생 하나요? >>> A씨의 경우에는, 세액공제 받지 않은 300만원은 비과세로 인출되고, 나머지 1..

연금계좌(IRP, 연금저축) 소득세 5.5%? 16.5%?

Q. 세액공제와 상관없이 운용으로 인해 발생된 수익에 대해서는 중도인출, 연금 수령시 세금이 부과된다? IRP는 법에서 정한 제한적인 사유*인 경우에만 중도인출이 가능하지만, 연금저축은 제약없이 중도인출이 가능합니다. 세금부과없이 인출한다는 말은 아닙니다. *6개월 이상의 요양 의료비, 개인회생ㆍ파산, 무주택자의 주택구입ㆍ전세보증금 등 일반적으로, 연금계좌를 중도인출할 때에는 세액공제를 받았던 자기부담금과 운용수익에 대해 기타소득세(16.5%)가 부과되나, 소득세법에서 정한 ‘부득이한 인출’은 저율의 연금소득세(3.3~5.5%)가 부과됩니다. 중도인출 가능과는 별개로 소득세는 어떤 인출이냐에 따라 세율을 달리 적용합니다. 만약, 세액공제를 받지 않은 자기부담금이라면 기타소득세를 부과하지 않겠지만, 이에 ..

개인연금과 건강보험료, 전전년도 이자소득은 왜 올해에?

Q. 공적연금, 사적연금 모두 건강보험료 산정에 포함된다? 건강보험료는 은퇴자나 자영업자에게는 불공평한 산정기준을 적용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을겁니다. 직장에 소속된 회사원이라면 소득에 대해서 적용되는데 말이죠. 2022년 9월부터는 별도로 추가 부과하고 있지만, 공평하게 부과된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은퇴자라면 공적연금인 공무원연금, 국민연금, 사학연금, 군인연금외에 또 다른 노후준비를 위해서 사적연금에 가입한 이들도 꽤 있을겁니다. 다행히 공적연금엔 건강보험료를 부과해 왔습니다. - 소득 점수(연 소득 336만원 기준) : 「소득세법」에 따라 산정한 이자·배당·사업·기타소득금액, 「소득세법」에 따른 근로·연금소득의 금액 합계액 소득세법에 따른 근로 연금소득의 금액 합계액의 소득 점수를 반영해서 건강보..

리볼빙서비스, 쥐 생각하는 고양이!

연말에 이어 연초에 구정까지 끼게되면 원치않는 지출이 늘어나게 되는데요. 늘어난 지출을 메꾸기 위해서는 허리띠를 졸라매든지, 어디서든 돈을 끌어와야합니다. 카드로 지출하고 돈이 적어서 지출액 모두를 결제하기 어렵다면 어떻게 하나요? 결제일이 도래하는 날에는 어쩔 수 없이 연체가 발생할 수 밖에 없습니다. 연체가 지속되면 신용등급 하락은 불가피하죠. 신용등급 하락은 대출금리 상승은 물론이거니와 카드 발급이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이럴 경우에 불가피하게 선택하는 리볼빙 서비스! 금융회사에서 카드 사용자에게 혜택을 주는것처럼 포장하나 실제는 카드사의 이익을 높이기위한 수단이 됩니다. 카드나 현금서비스 대금을 약정된 결제일에 한 번에 결제하지 않고 일부만 결제하고, 나머지를 다음 달로 이월하여 결제할 수 있도록..

만기후 이자는 쥐꼬리만해

Q. 예적금 만기후 이자율은 만기때와 동일하거나 비슷하다? 얼마전 예금 만기일이 다가왔다는 문자를 받고서도 예금 만기후에도 만기 때와 별반 다르지않는 이자율을 지급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에 차일피일 은행 방문을 미루고 있었습니다. 이자율이 떨어져봐야 얼마나 낮아지겠어? 라는 안일한 생각에 게으름이 한 몫 했습니다. 이러니 부자되긴 글렀나 봅니다. 은행가기 전에 작년 예금만기 확인증을 발견하면서 올해는 어떻게 이자가 변했을까 궁금해서 비교해 봤습니다. 위 사진을 보니 한 번도 만기때 은행을 방문한 적이 없네요. ㅠㅠ 2018년에 만기를 맞이한 예금은 연 2.1%, 2019년 만기인 예금은 연 2.37%. 통장에 기재된 내용을 들여다보면, 세금우대저축으로 복리가 적용되어 실제이자율은 처음에 약속한 이자율보다 쬐..

농협,신협,새마을금고 이용하는 꿀팁!!

제1금융권인 국민은행, 하나은행, 신한은행, 농협은행, 씨티은행, SC제일은행 등에서 대부분 은행 업무를 보는 사람들은 제2금융권은 왠지 낯설고 위험하고 안전하지 못하다는 생각이 들겁니다. 그래서 가입을 꺼리는 사람도 있구요. 2금융권에만 있는 특징이자 장점을 안다면 결코 외면하기 어려울겁니다. 그럼 어떤 특징과 장점이 있는지 보겠습니다. 1. 제1금융권보다 금리가 높다. 은행연합회에 고시된 시중은행 금리는 우대금리를 적용하지 않고 받을 수 있는 금리로 최대로 받을 수 있는 금리가 케이뱅크의 36개월짜리 '코드K 자유적금'이 2.6%입니다. 그 외 2.4%(12개월 적금), 2.1% 정도임을 알 수 있습니다. 새마을금고에서 볼 수 있는 적금은 '우리아기 첫걸음 정기적금'으로 2.5%~5.5% 로 나타납니..

우리은행의 '우리여행적금' 6% 최고 금리

우리은행의 '우리여행적금' 6% 최고 금리 꽤 오래전에 출시되었던 우리은행의 '우리 여행적금' 많은 사람들이 관심이 가졌던 상품입니다. 우리 은행을 이용하고 있거나 아직 주로 거래하는 은행이 없는 사람에게 추천해 볼 만 합니다. 이 상품은 기본금리가 6%를 제공하고 있지 않습니다. 기본금리에 추가로 가산되는 금리는 카드 이용 실적에 따라 차등 적용됩니다. 그러니 카드를 사용하지 않으신 분은 별로 혜택이 큰 상품이 아닙니다. 3% 금리를 시중 은행권이 아닌 2금융권에서는 가끔 만날 수 있으니 6%는 굉장히 매력적이긴 하죠. 어떤 조건이 붙는지 알아봐야겠네요. 기본금리 1.8% + α 우리은행 우리 여행적금은 기본금리 1.8%에 최대 4.2%p 우대 금리를 적용해서 6%를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어떤 조건이..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