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과세 2

연금저축과 IRP 중도인출 기준이 달라?

Q. 연금저축과 IRP에서 부득이하게 중도인출을 하는 경우에는 먼저 입금한 순서대로 인출된다? ▶출금할때 순서는 어떻게되며, 차감하는 세금은 어떻게 되나요? 연금적립금에서 출금할 때, 차감되는 세금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 세율이 낮은 적립금부터 출금됩니다. 1순위 Tax 0% 비과세 대상금액 연말 세액공제 신청을 하지 않은 납입금 2순위 Tax 16.5% 기타소득세 연말 세액공제 신청한 납입금 연금저축에서 발생한 수익 예시 : 2016년도에 연금저축에 입금한 A씨, 세액공제 받은 금액 400만원, 받지 않은 금액은 300만원, 운용수익은 30만원 입니다. 2017년에 400만원 중도인출 하면 세금이 어떻게 발생 하나요? >>> A씨의 경우에는, 세액공제 받지 않은 300만원은 비과세로 인출되고, 나머지 1..

10년 유지해도 무용지물 저축보험

Q. 보험회사가 달라도 공시이율이 같으면 만기환급금은 동일하다? 저축보험은 10년 이상 유지하지 못한다면 별 이득이 없습니다. 보험회사들이 하나같이 5년이상 납부와 만기를 10년 이상 유지하라고 하는게 그냥 하는 말이 아닙니다. 그들은 왜 3년납 저축보험상품을 파는걸까요? 저축보험을 가입하는 이유는 복리와 비과세 때문인데, 보험회사 입장에서는 금리가 낮아지고 있고 경제상황도 점점 나빠지고 있다는 예견에 부담이 될 수 밖에 없습니다. 300만원 이자가 발생했을 때, 비과세가 적용되면 46만원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를 들이대면서 저축보험 가입을 유도합니다. 그러나 비과세 적용을 받으려면 5년납 10년을 유지해야만 합니다. 유지못하면? 혜택이 없죠. 그런데도 3년납을 유도합니다. 저축보험은 가입기간..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