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4

2024년 증시 폐장일과 배당 준비

올해 증시 폐장일 30일…새해 2일 오전 10시 개장한국거래소가 오는 31일을 연말 휴장일로 지정하고, 올해 증권·파생상품시장을 30일까지 운영합니다.새해 첫 거래일은 1월 2일로, 증시 개장식에 따라 증권시장 정규장 개장 시간이 기존보다 1시간 늦어진 오전 10시로 변경됩니다.장 종료시간은 현행대로 오후 3시 30분입니다.또한, 연말 결산하는 상장사의 경우에는 배당 기준일로 정한 상장사의 배당락일이 오는 27일입니다.이달 26일까지 주식을 매수하면 해당 상장사의 배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생활 정책 2024.12.18

2023년 주식시장 폐장일 - 배당

2023년 주식에 투자하셨던 분들의 수익률은 어떠셨나요? 2023년 1월 2일 개장일에 시초가는 2,225.67이었습니다. 2,600을 오르내리고 있는 현 시점을 기준으로 한다면 16.8% 가량의 수익률입니다. 열심히 사고팔았는데 이 정도 수익률이라면 괜한 헛수고를 한 셈이네요. (별 차이가 없는걸요, 저도. ㅠ) 그럼, 배당을 노려볼까요? 배당을 받으려면 배당기준일에는 주식을 보유해야합니다. 올해는 배당기준일을 결산기준일과 다르게 설정하는 기업들이 30% 가까이 있으니 꼭 확인하셔야 합니다. 2023.12.13 - [생활 정책] - 배당기준일이 달라진다고? 배당기준일이 달라진다고? 2023년 12월 6일(수)에 금감원에서 배포한 보도자료 12월이 되면 한 해 동안 흐른 시간을 정리하게되죠. 상장되어있는..

생활 정책 2023.12.23

무상증자, 유상증자 그리고 액면분할

Q. 유상증자와 무상증자 둘 다 회사에 자금이 유입된다. A. 유상증자는, 신주배정일 기준에 해당 주식을 가진 주주에게 실제 거래되는 주식 가격보다 낮은 가격으로 팔아서 자금을 확보합니다. 이 자금으로 회사 운영 자금으로 사용한다. 유상증자는 대부분 자금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회사에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에 반해, 무상증자는 회사내 자본잉여금 등으로 주주에게 무상으로 주식을 나누어주게 됩니다. 그러니 자금이 늘어나지는 않습니다. 회사 경영상태가 좋다는 의미 정도로 받아들이면 될 듯 합니다.

매일 1%씩 수익을 낼 수 있으면 몰빵?

Q. 매일 1%씩 수익을 내면 1년 후 수익은 200%가 된다?(주식으로 수익을 낸다고 가정, 1년동안 영업일은 200일 기준) 주식 열풍이 아직 식지 않았죠. 유튜브 주식 방송의 구독자가 많아지고 실시간 시청자 수 조차 줄어들지 않는 걸 보면 주식시장이 조만간 꺼지지 않을 것처럼 보입니다. 연초에는 증권사 영업점으로 계좌 개설하러 온 이들이 문전성시를 이뤘다는 뉴스까지 나왔었죠. 얼마전, 카카오TV의 '개미는 오늘도 뚠뚠'에서 종가매매로 매일 1% 수익을 목표로 한다는 분의 이야기가 잠깐 나왔었죠. 방송 현재 그 분은 마이너스 중이라는 말과 함께... 주식을 하는 사람이라면 매일 1%의 수익이 쉽지 않음을 압니다. 어쩌다 어제 산 주식이 운 좋게 오늘 상한가를 치는 경우는 있습니다. 그러나 매일 1%씩..

728x90
반응형